출처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00430121105§ion=05
영국의 <BBC> 역시 '전함 침몰을 둘러싼 한국의 딜레마'라는 29일 기사에서 한국 정부가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BBC>는 "무기 파편이 발견되면 결정적이겠지만 (서해의) 강한 조류를 감안하면 증거가 멀리 흘러갔을 수 있다"면서 "증거가 있더라도 한국 정부가 대응하기에 정치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을 더 선호할지 모른다"는 시각을 전했다.
한국의 군사적 보복은 확전의 위험이 있고 시장에 충격을 줘 한국 경제에 해를 주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은 이미 지구상에서 가장 고립됐고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기 때문에 유엔을 통한 외교적 대응도 한계가 있다는 게 <BBC>의 지적이다.
아울러 <BBC>는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이라면 그런 행동이 얼마나 도발적인 건지를 알면서도 북한이 해군 방어를 강화하지도 않은 채 공격을 감행했을 리 없다"며 어뢰 공격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해상전투 전문가 노먼 프리드먼은 <BBC>에 "만약 3차 세계대전을 시작할 의도가 없었다면 (북한은) 그렇게 못한다"며 "이것이 바로 (북한의 어뢰가 아닌) 기뢰라고 생각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천안함이 어뢰가 아닌 기뢰에 의해 파괴됐을 수 있다는 분석과 관련해서는 지난 26일 <LA타임스>가 이미 주목할 만한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국제위기관리그룹(ICG)의 북한 전문가 대니얼 핑크스톤은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을 추적하고 있는 워싱턴의 관리들이 자신에게 천안함이 어뢰 공격을 받았다면 매우 경악할 것(absolutely astounded)이라고 말했다며 "관리들은 기뢰(mine) 가능성에 더 신뢰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핑크스톤은 이어 "각각의 시나리오에는 모두 구멍이 있다"며 "어떤 시나리오들은 제임스 본드의 영화에나 나올법한 소리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와 보수파들이 현 상황 초래"
천안함 사고가 북한의 소행임이 밝혀져도 대응할 수단이 없고 북한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뉴욕타임스>는 28일 한국과 중국, 미국의 전문가들을 인용해 북한이 중국의 경제적 영향권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은 중국의 전략적 의도 때문이라기보다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까닭에 전문가들은 이명박 대통령이 30일 상하이 세계엑스포를 계기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도 천안함 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겠다는 계획에 대한 지지를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을 압박하는 게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되고, 한반도의 안정을 가장 중시하는 중국의 입장 때문이란 것이다.
앞서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도 지난 15일 북한 전문가인 에이던 포스터 카터 영국 리즈대 연구원의 기고를 통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강력히 비판했다.
카터 연구원은 '북한을 잃어버리고 있다 : 한국은 북방정책 펴야'라는 기고문에서 "한국의 우파들은 북한이 중국의 동북 4성이 된다고 비판하지만 그것은 제 얼굴에 침을 뱉는 격"이라면서 "한국의 근시안적 보수파들은 굶주리는 북한 동포들에게 쌀을 보내는데 필요한 적은 액수의 돈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역사는 이 대통령을 G20 정상회의 의장이 아니라 북한을 잃은 남한의 대통령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밖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22일 국제사회는 당근과 채찍 어느 것에도 반응하지 않은 북한 정권을 다룰 묘책이 없다면서 "남한은 통일을 갈망하면서도 경제·사회적인 비용을 감내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BBC>는 "무기 파편이 발견되면 결정적이겠지만 (서해의) 강한 조류를 감안하면 증거가 멀리 흘러갔을 수 있다"면서 "증거가 있더라도 한국 정부가 대응하기에 정치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을 더 선호할지 모른다"는 시각을 전했다.
한국의 군사적 보복은 확전의 위험이 있고 시장에 충격을 줘 한국 경제에 해를 주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은 이미 지구상에서 가장 고립됐고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기 때문에 유엔을 통한 외교적 대응도 한계가 있다는 게 <BBC>의 지적이다.
아울러 <BBC>는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이라면 그런 행동이 얼마나 도발적인 건지를 알면서도 북한이 해군 방어를 강화하지도 않은 채 공격을 감행했을 리 없다"며 어뢰 공격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해상전투 전문가 노먼 프리드먼은 <BBC>에 "만약 3차 세계대전을 시작할 의도가 없었다면 (북한은) 그렇게 못한다"며 "이것이 바로 (북한의 어뢰가 아닌) 기뢰라고 생각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천안함이 어뢰가 아닌 기뢰에 의해 파괴됐을 수 있다는 분석과 관련해서는 지난 26일 <LA타임스>가 이미 주목할 만한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국제위기관리그룹(ICG)의 북한 전문가 대니얼 핑크스톤은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을 추적하고 있는 워싱턴의 관리들이 자신에게 천안함이 어뢰 공격을 받았다면 매우 경악할 것(absolutely astounded)이라고 말했다며 "관리들은 기뢰(mine) 가능성에 더 신뢰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핑크스톤은 이어 "각각의 시나리오에는 모두 구멍이 있다"며 "어떤 시나리오들은 제임스 본드의 영화에나 나올법한 소리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와 보수파들이 현 상황 초래"
천안함 사고가 북한의 소행임이 밝혀져도 대응할 수단이 없고 북한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뉴욕타임스>는 28일 한국과 중국, 미국의 전문가들을 인용해 북한이 중국의 경제적 영향권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은 중국의 전략적 의도 때문이라기보다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까닭에 전문가들은 이명박 대통령이 30일 상하이 세계엑스포를 계기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도 천안함 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겠다는 계획에 대한 지지를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을 압박하는 게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되고, 한반도의 안정을 가장 중시하는 중국의 입장 때문이란 것이다.
앞서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도 지난 15일 북한 전문가인 에이던 포스터 카터 영국 리즈대 연구원의 기고를 통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강력히 비판했다.
카터 연구원은 '북한을 잃어버리고 있다 : 한국은 북방정책 펴야'라는 기고문에서 "한국의 우파들은 북한이 중국의 동북 4성이 된다고 비판하지만 그것은 제 얼굴에 침을 뱉는 격"이라면서 "한국의 근시안적 보수파들은 굶주리는 북한 동포들에게 쌀을 보내는데 필요한 적은 액수의 돈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역사는 이 대통령을 G20 정상회의 의장이 아니라 북한을 잃은 남한의 대통령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밖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22일 국제사회는 당근과 채찍 어느 것에도 반응하지 않은 북한 정권을 다룰 묘책이 없다면서 "남한은 통일을 갈망하면서도 경제·사회적인 비용을 감내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