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affair/view.html?cateid=1010&newsid=20110903093318424&p=nocut
"내가 못 다한 일, 어머니가 꼭 이뤄주소. 내가 죽고 없으면 엄마가 댕기면서 '학생들하고 노동자들하고 단결해서 싸워야 한다'고... 그렇게 외쳐 주소"
41년 전, 화상으로 온 몸에 붕대를 감은 22살 아들이 숨이 넘어가기 직전 당부한 유언이다.
아들 전태일의 마지막 말을 지키는 것, 그것만이 고인의 살아가는 삶의 이유였다.
고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이자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였던 이소선 여사가 3일 소천했다. 향년 81세.
고인은 한 노동자의 평범한 어머니였지만 1970년 11월 13일 이후 모든 것이 달라졌다.
이날 전태일 열사가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며 분신자살하면서 고인은 민주화 투사로 거듭났다.
몸과 마음은 만신창이였지만 아들과의 약속을 위해 '전태일'이 돼 살아갔다.
전태일 열사에게 자극 받은 수많은 사람들은 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벌이며 고인을 찾아왔다.
고인은 이렇게 찾아온 이들을 연결시켜 주거나 공권력에 쫓기는 이들을 숨겨줬다.
수배중이던 고 조영래 변호사를 애인으로 위장시켜 경찰의 포위망을 뚫기도 했고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된 장기표씨를 숨겨주기도 했다.
이러다보니 김대중 정부 시절 중반까지 20년 넘게 경찰 정보과 형사들이 따라다니며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당하는 생활을 하며 4번이나 구치소에 다녀왔다.
노동자의 대모였던 고인에게 나이가 더 많았던 문익환 목사나 김대중 대통령도 깍듯하게 '어머니'라 불렀을 정도였다.
1986년에는 민주화운동에서 희생된 이들의 유족들을 모아 전국민주화운동 유가족협의회(유가협)을 창립해 초대 회장을 맡고 죽기 직전까지도 고문을 역임했다.
1989년에는 유가협 회원들과 함께 135일 동안 의문사 진상 규명 농성을 벌였고 1998년에는 의문사 진상 규명 및 명예회복법 제정을 위한 422일 천막농성을 진행하기도 했다.
노동운동의 현장에는 언제나 고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쓰러져 병상에 눕기 직전까지도 부산 한진중공업 3차 희망의 버스를 타는 일을 상의했을 정도였다.
별세하기 전까지도 아들 전태일이 공장에서 남은 천으로 만들어 앞 뒤 색깔이 다른 겨울 속바지를 입었던 고인.
누구와도 바꿀 수 없었던 아들 전태일을 잃은 천불이 일어 신경안정제를 먹어도 잠들지 못하는 밤이 숱했다.
"나는 올 때까지 다 와서 이 달에 갈지 훗 달에 갈지 몰라. (40년동안) 갈 데 안 갈 데 다 다녔는데 변한 게 없어서, 우리 아들한테 가서 할 말이 없어서 큰 일인기라"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삶의 무게를 짊어졌던 고인.
우리가 고인을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가 아닌 고인의 이름 석 자 이소선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다.
41년 전, 화상으로 온 몸에 붕대를 감은 22살 아들이 숨이 넘어가기 직전 당부한 유언이다.
아들 전태일의 마지막 말을 지키는 것, 그것만이 고인의 살아가는 삶의 이유였다.
고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이자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였던 이소선 여사가 3일 소천했다. 향년 81세.
이날 전태일 열사가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며 분신자살하면서 고인은 민주화 투사로 거듭났다.
몸과 마음은 만신창이였지만 아들과의 약속을 위해 '전태일'이 돼 살아갔다.
전태일 열사에게 자극 받은 수많은 사람들은 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벌이며 고인을 찾아왔다.
고인은 이렇게 찾아온 이들을 연결시켜 주거나 공권력에 쫓기는 이들을 숨겨줬다.
수배중이던 고 조영래 변호사를 애인으로 위장시켜 경찰의 포위망을 뚫기도 했고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된 장기표씨를 숨겨주기도 했다.
이러다보니 김대중 정부 시절 중반까지 20년 넘게 경찰 정보과 형사들이 따라다니며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당하는 생활을 하며 4번이나 구치소에 다녀왔다.
노동자의 대모였던 고인에게 나이가 더 많았던 문익환 목사나 김대중 대통령도 깍듯하게 '어머니'라 불렀을 정도였다.
1986년에는 민주화운동에서 희생된 이들의 유족들을 모아 전국민주화운동 유가족협의회(유가협)을 창립해 초대 회장을 맡고 죽기 직전까지도 고문을 역임했다.
1989년에는 유가협 회원들과 함께 135일 동안 의문사 진상 규명 농성을 벌였고 1998년에는 의문사 진상 규명 및 명예회복법 제정을 위한 422일 천막농성을 진행하기도 했다.
노동운동의 현장에는 언제나 고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쓰러져 병상에 눕기 직전까지도 부산 한진중공업 3차 희망의 버스를 타는 일을 상의했을 정도였다.
별세하기 전까지도 아들 전태일이 공장에서 남은 천으로 만들어 앞 뒤 색깔이 다른 겨울 속바지를 입었던 고인.
누구와도 바꿀 수 없었던 아들 전태일을 잃은 천불이 일어 신경안정제를 먹어도 잠들지 못하는 밤이 숱했다.
"나는 올 때까지 다 와서 이 달에 갈지 훗 달에 갈지 몰라. (40년동안) 갈 데 안 갈 데 다 다녔는데 변한 게 없어서, 우리 아들한테 가서 할 말이 없어서 큰 일인기라"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삶의 무게를 짊어졌던 고인.
우리가 고인을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가 아닌 고인의 이름 석 자 이소선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다.
'뉴스보도 > 감동실화 위인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경찰관의 '1달러짜리 마지막 선행' 미국을 울리다 (0) | 2011.08.19 |
---|---|
목숨 건 쓰나미 경고 방송...결국 숨진 공무원 (0) | 2011.05.08 |
황금어장 안철수 편 (0) | 200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