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바로가기 ☞ 클릭
[게임스팟코리아]<특별취재팀=최병준, 이도원, 봉성창 기자>
온라인게임은 발상지인 우리나라에서 시작해 서풍(西風)을 타고 있다. 불교의 전파와는 반대 방향으로 중국을 거쳐 동남아시아를 통과해 인도까지 뻗어나가고 있는 양상이다.

 

그중에서도 동남아시아는 한국 온라인게임 업계에게 매우 의미 있는 시장이다. 2000년대 초부터 한류 바람을 타고 온라인게임이 자리잡기 시작한 동남아시아 시장은 지금까지도 한국 게임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출 지역이 됐다.

 

이곳 동남아시아 지역은 많은 국가들이 독립적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요 온라인게임 소비 국가인 태국, 베트남, 필리핀 3국은 한국 온라인게임이 이미 굳건히 입지를 굳히고 있다. 또한 경제수준이 높은 싱가폴과 위치적으로 근접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역시 잠재력있는 온라인게임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여전히 낮은 경제규모와 낙후된 PC환경 및 인터넷 인프라를 가진 시장임에는 분명하다. 때문에 아직까지는 비교적 저사양을 요구하는 온라인게임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국내에서 다소 흥행해 실패한 온라인게임이라고 하더라도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크게 성공했다는 소식은 적지 않게 들려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 차원의 IT 산업 부양에 힘입어 인터넷 인프라와 PC 사양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향후에도 지속 성장이 가능한 온라인게임 시장으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

 

■ “온라인게임? 한국밖에 몰라요”

 

동남아시아에서 한국 온라인게임이 가장 환영받고 있는 국가를 꼽는다면 단연 태국을 들 수 있다. 한국 온라인게임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가지고 있는 태국은 현재 동남아시아 최대 온라인게임 시장으로 떠올랐다.

 

▲ 지난해 1월 아시아소프트와 계약을 통해 태국에서 서비스되는 `서든어택` 옥외 광고

태국 시장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얻은 게임은 엔트리브 소프트의 골프 소재 온라인게임 ‘팡야’다. 타이거우즈의 나라 태국은 골프에 대한 인기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팡야’의 인기 역시 이러한 문화적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 비단 ‘팡야’ 뿐 아니라 엠게임의 ‘열혈강호’, 민커뮤니케이션의 ‘란온라인’ 등이 오랫동안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이를 서비스한 현지 퍼블리셔 아시아 소프트는 동남아시아 최대 게임 퍼블리셔로 성장하기도 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컴퓨터 사양이 급속도로 좋아지면서 신작 게임의 유입도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서든어택’과 드래곤플라이의 ‘스페셜포스’와 같은 1인칭 슈팅 장르 게임이 인기 상한가를 달리고 있다. 이외에도 태국 시장은 한국 온라인게임에 대해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여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쏟아지는 저가 중국산 온라인게임을 점차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지만 태국은 여전히 ‘메이드인코리아’에 열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인터넷카페. 현지 사용자들은 주로 한국 온라인게임을 즐기고 있다.

베트남 역시 태국 못지않은 훌륭한 온라인게임 시장으로 급부상했다. 지난 2003년 웹젠의 ‘뮤’가 흥행 신화를 쓰며 온라인게임 산업이 태동한 베트남은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해 현재는 자체 개발 온라인게임이 나올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 가운데 한국 온라인게임은 높은 완성도와 서비스 노하우를 경쟁력으로 내세우며 승승장구 하고 있다.

 

베트남 시장에서 최근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게임은 스마일게이트가 개발한 ‘크로스파이어’다. ‘크로스파이어’는 지난 2007년 국내에 첫 선을 보였지만 이미 굳건히 선두자리를 지키고 있는 ‘서든어택’과 ‘스페셜포스’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 베트남서 1천만명의 회원을 확보하며 국민게임이 된 ‘크로스파이어’
그러나 ‘크로스파이어’는 탄탄한 완성도와 낮은 컴퓨터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베트남에서 누적회원 1천만 명, 동시접속자수가 9만 명을 기록하며 국민게임으로 떠올랐다.

 

비단 ‘크로스파이어’ 이외에도 초창기 베트남 온라인게임의 기틀을 닦으며 한빛소프트의 ‘오디션’, 네오위즈게임즈의 ‘피파온라인2’ 등이 높은 인기를 끌었다.

 

필리핀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비교적 일찍 한국 온라인게임이 전파됐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영어를 사용하는 이곳은 간편한 현지화로 인해 수많은 한국 온라인게임이 진출하기에 용이했다.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를 비롯해 ‘뮤’, ‘RF온라인’ 등이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YNK코리아의 ‘로한’에 이르기까지 다중접속수행게임(MMORPG)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의 캐쉬카우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소득 수준의 큰 격차에도 불구하고 지리적인 근접성으로 인해 동일 시장으로 묶여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비슷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는 인도네시아 역시 동일 시장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한국 온라인게임사들은 이들 지역을 묶어 판권 계약을 한다.

 

■ 영화, 드라마와 함께 한류 ‘일등공신’

 

이들 국가 역시 동남아시아 전역에 부는 온라인게임 열풍은 비켜나가지 않았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 중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와 같이 정치적으로 불안하거나 소득수준이 크게 낮은 국가를 제외한 7개국에는 이미 한국 온라인게임이 모두 진출해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까지도 한국 온라인게임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연일 승전보를 올리고 있지만 무조건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한국 온라인게임을 통해 인터넷 인프라 구축이 가속화되고 인터넷 카페와 같은 기반 소비 시설이 생겨나면서 수입에만 의존하던 이들 국가가 자체적으로 온라인게임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베트남 토종 게임사가 개발한 온라인게임 ‘Thuan Thien Kiem’ 한 장면

자체 개발 움직임이 잠재적인 위협이라면 중국산 온라인게임은 이미 목전에 다가온 위협이다. 이들 중국산 온라인게임은 특유의 저가 공세로 인해 한국 온라인게임에게 있어 가장 강력한 경쟁상대로 떠오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온라인게임에 대한 이들 국가 사용자들의 충성도는 여전하다. 그 이유는 대부분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태동한 온라인게임 시장이 모두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행으로 인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이 영화, 드라마와 함께 2000년 이후 동남아시아에 불어 닥친 문화 쓰나미 ‘한류’를 만들어낸 셈이다.

온라인 게임을 통한 '우리나라 알리기'
Posted by 크라바트
,

Loading